JSA소개

공동경비구역 전우회를 소개합니다.

JSA소개

JSA소개JSA소개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상에 있는 공동경비구역. 군사정전위원회 유엔사측과 공산측(북한,중국)이 군사정전위원회 회의를 원만히 운영하기 위해 1953년 10월 군사정전위원회 본부구역 군사분계선상(MDL)에 설치한 동서 800m, 남북 400m 장방형의 지대이다.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개성직할시 판문군 판문점리에 해당한다. 서울에서 서북방으로 62Km, 북한의 평양에서 남쪽으로 215Km, 개성시로부터는 10Km 떨어져 있다. 판문점은 이 지역의 이름이며 공식명칭은 공동경비구역(JSA, Joint Security Area)이다.

판문점은 6·25 전에는 널문(板門)이라는 지명으로, 초가집 몇 채만 있던 외딴 마을이었다. 1951∼53년 휴전회담이 진행되면서 전세계에 알려졌다. 처음에 이곳에 천막을 치고 시작한 휴전회담은 장장 1년9개월을 끌었고, 휴전회담을 마친 뒤 정전협정 조인을 위해 부근에 목조건물을 지었으며, 그 후 1km 남쪽의 현재 위치로 다시 이전했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은 예전에는 주로 휴전을 관리하는 장소로 이용되었으나, 1971년 9월 20일 열린 남북적십자예비회담을 계기로 군사정전위원회의 회담장소뿐 아니라 남·북한간 접촉과 회담을 위한 장소 및 남북을 왕래하는 통과지점으로도 활용되어 왔다. 공동경비구역(JSA)이 설치된 이후 쌍방 군정위 관계자들은 구역 내에서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76년 8월 도끼만행사건 이후부터 양측간 충돌 방지를 위해 군사분계선을 표시하여 경비병을 포함한 모든 군인들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상대측 지역에 들어가지 못하며 개인적으로 북한군을 만나거나 말을 걸지 못하도록 돼있다.

공동경비구역
공동경비구역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는 모두 24개의 크고 작은 건물이 세워져 있다. 군사분계선상(MDL)에 동서방향으로 7채의 조립식 막사가 있고 그 가운데 하늘색의 T2건물이란 것이 `군사정전위원회 본회의실'이고 그 왼쪽이 T1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이다. T는 '임시(temporary)'의 약자다. 군사분계선은 '군사정전위원회'회의실내에 놓여 있는 장방형 회의용 탁자 한가운데를 지나고 있는 마이크선과 이 탁자위에 놓여 있는 유엔기와 북한의 깃발로 상징된다.

이밖에 남쪽에 `자유의 집' `평화의 집'이, 북쪽에 `판문각' '통일각'이 있다. '자유의 집'과 '판문각'에는 남북간에 필요한 연락업무를 위해 쌍방의 적십자사가 상설 연락사무소와 직통전화 2회선을 설치해놓고 있다. 또한 서쪽의 사천(砂川)에는 민족분단의 상징인 '돌아오지 않는 다리'가 있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는 남측지역에는 대성동 '자유의 마을'이 있으며, 자유의 마을에서 직선거리로 1. 8㎞ 떨어진 비무장지대 북쪽 구역에는 북측 '기정동 마을'이 있다.

상단으로 가기